반응형
정신과 진료비 실비 청구 가능 할까?
우선 가능합니다. 대신 조건이 있습니다.
1. 실손보험 가입 연도 확인:
- 정신과 진료비 실비청구는 2016년 1월 1일 이후에 가입한 실손 보험 가입자에게만 가능합니다. 2016년 이전에 가입한 경우에는 불가능합니다.
2. 정신질환 질병분류코드 확인:
- 실비청구를 하려면 진단받은 정신질환의 질병분류코드를 확인해야 합니다.
- 정신질환 중 아래 코드에 해당하는 경우 실비청구가 가능합니다:
- F04∼F09, F20∼F29, F30∼F39, F40∼F48, F90∼F98
- 예를 들어, 우울증은 F32 또는 F33에 해당합니다.
3. 질병분류코드 확인 방법:
- 진단서, 처방전, 진료비 세부내역서 등의 실비 청구를 위한 서류에 질병분류 코드가 기재되어 있습니다.
- 이러한 서류를 확인하여 질병분류 코드를 찾을 수 있습니다.
4. 실비 청구 금액 제한 확인:
- 실비 청구의 경우 보험사가 급여 부분만을 보상하며, 비급여 부분은 보상하지 않습니다. 약제비는 일반적으로 제외됩니다.
- 예를 들어, 정신과 진료비 중 건강보험 급여로 적용되는 비용이 3만원이고, 비급여 치료가 10만원이라면, 보험사는 급여 부분인 3만원에 한해서만 실비청구를 보상합니다.
요약하면, 정신과 진료비 실비청구 가능 여부를 확인하려면 실손보험 가입 연도를 확인하고, 진단된 정신질환의 질병분류 코드를 찾아야 합니다. 그리고 보험사의 실비 청구 금액 제한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러한 정보를 확인하여 보험 청구를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스가 선보이는 실손보험 청구의 혁신: 간소화된 금융 미래의 시작 (1) | 2024.10.26 |
---|---|
2024 연말정산 공제비율(feat. 환급많이받는 법) (1) | 2024.01.06 |
노란색 횡단보도 도입 (0) | 2023.10.07 |
중고차 판매 방법 판매할 때 꼭 알아야 할 내용 (2) | 2023.10.05 |
125CC 클래식 스쿠터 추천 정리 베스파 장고 (0) | 2023.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