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파킹통장? 고금리 파킹통장

by 지식수집중 2023. 10. 17.
반응형

 

오늘은 파킹통장을 공부해 보려고 해요.

 

2020년과 2021년에는 코로나로 인해 금융 시장이 혼란스럽게 움직였고, 많은 사람들이 주식, 부동산, 암호화폐 등 위험 자산으로 투자하였습니다. 그러나 2022년 하반기 이후, 경제 상황이 불안정해지며, 고금리, 고물가, 그리고 고환율로 인해 시장의 변동성이 높아졌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안전한 투자를 원하는 사람들은 은행 예금과 같은 안전 자산으로 자금을 옮기고 있습니다.

특히, 금리가 상당히 높아져서 예금 이자율이 상승했으나, 정부 규제로 인해 금리가 안정화되어 있는데, 이로 인해 투자자들은 어디에 돈을 투자해야 할지 막막해하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이러한 환경에서 인기를 얻고 있는데, 이는 짧은 기간 동안 자금을 예치하면서도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예금 상품입니다. 또한, 필요할 때 돈을 인출할 수 있는 유동성이 높은 통장이기 때문에, 많은 사람들이 이를 선택하고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정기예금이나 정기적금과는 달리 장기간 동안 돈을 예치하지 않아도 되며, 동시에 높은 이자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 따라서, 파킹통장은 현재의 경제 상황에서 매우 유용한 투자 옵션 중 하나입니다.


파킹통장이란?

파킹통장이란 한마디로 정리하자면 고금리 수시 입출금통장입니다. 
하루만 보관해도 이자를 준다?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한데도 이자를 준다? 자유롭게 언제든 입출금이 가능한 보통예금을 말합니다!


파킹통장의 특징

파킹통장은 비상금으로 쓸 돈이나 목돈을 장기간 예치하지 않고 단기간 보관하는 용도로 사용됩니다. 짧은 기간 예치하는 자금이지만 고금리를 받기 위해서 파킹통장을 이용하는 거죠. 파킹통장의 경우 매일 매일 최종 잔액을 기준으로 금리가 적용됩니다!

 

파킹통장의 수시입출금 기능

파킹통장의 경우 별도의 해지없이 자유롭게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며 돈 쓸 일이 있지만 1년 이내로 사용할 계획이 있다면 파킹통장을 이용하시면 됩니다.

 

파킹통장의 높은 금리

파킹통장 금리 비교부터 해볼게요! 국민은행, 신한은행 등 국내 시중은행의 경우 파킹통장의 금리는 연 1~2% 정도인 데에 비해 케이뱅크, 카카오뱅크 등 인터넷 은행을 살펴보면 파킹통장 금리가 2%가 넘어가는 경우도 많습니다. 다음은 국내의 대표적인 파킹통장 금리 비교입니다.

 

파킹통장 금리 비교

케이뱅크 파킹통장: 최대 3억원까지 연 3% 금리 적용
카카오뱅크 파킹통장: 최대 1억 원 까지 연 2.6% 금리 적용
토스뱅크 파킹통장: 5천만 원까지 2.3%, 단, 초과 금액에 대해 연 4% 금리 적용
OK저축은행 파킹통장: 현재 금리가 가장 높은 파킹통장, 1백만 원까지 연 5%, 1백만원 ~ 5백만원까지 연 4.5% 금리 적용
* 23.1.12 기준으로 각 은행별 금리 분석

 

파킹통장의 이자 계산 방법 및 이자 받는 방법

파킹통장은 일반적인 예적금 상품들과는 이자 계산 방법이 다릅니다. 이제부터는 파킹통장의 이자 계산 방법과 이자 받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파킹통장은 이자를 일할계산하며, 24시인 00시를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예를 들어 100만 원을 4%의 파킹통장에 하루 예치하는데 이자가  얼마나 되는지 계산해볼게요!


100만 원 × 0.04 ÷ 365 = 109원(세전)


이렇게 파킹통장의 이자는 일할계산되며 24시간 예치해야 금리 적용되는 것이 아닌, 23시 30분 넣고, 00시 30분에 빼더라도 00시 기준이기 때문에 하루 기준으로 이자가 계산됩니다.

 

이자받는 방법은 토스의 파킹통장처럼 일할계산하여 일일지급하는 경우가 있고, 달마다 받는 방법도 있습니다. 매달마다 받는 금리방식은 OK저축은행과 애큐온저축은행의 파킹통장 등이 대표적입니다. 이처럼 다양한 금리지급 방식을 제공하고 있으니 내가 원하는 상품을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파킹통장을 유용하게 사용하는 케이스

만약 큰 금액을 보유하고 있다면, 일반 수시입출금 통장 대신 높은 금리를 적용하는 파킹통장에 예금하는 것이 더 현명한 선택일 수 있습니다.

특히, 주식이나 부동산 투자와 같이 금액을 활용해야 하는 자금의 경우, 파킹통장은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파킹통장은 자금을 잠시 예치하는 데 적합하며, 1년 또는 2년 동안 자금을 고정시키지 않아도 됩니다. 이로써 필요할 때 자금을 뽑아낼 수 있어 투자 활용이 용이합니다. 반면에, 일반 입출금 통장은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보유하면 화폐 가치가 계속 감소하므로 원금 손실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파킹통장은 단기 자금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예를 들어, 전세 자금이나 주택 자금과 같이 안전한 자산을 일시적으로 보관하는 데 적합하며, 단기 예치만으로도 상당한 이자 수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5천만원을 파킹통장에 1달 동안 보관하면 10만 원 이상의 이자를 받을 수 있는 이점이 있습니다.

 

파킹통장의 장점과 단점


파킹통장의 장점

수시로 입출금이 가능하다는 것
파킹통장의 경우 금리 비교해 보면 단순 보통예금인 입출금통장보다 금리가 높다는 것
지금처럼 금리인상기인 경우, 금리가 인상되면 재가입하지 않아도 인상된 금리가 적용된다는 것이 장점!
파킹통장의 장점을 간단히 요약해보면 위와 같습니다. 따라서 여윳돈이 생길 때 신속하게 넣어둘 수 있고, 급히 돈이 필요할 때 또는 목돈 쓸 일이 있을 때 제약 없이 뺄 수 있습니다.

 

용돈, 계약금, 투자금, 추석, 설날, 생신, 기념일 등 비상금이나 예비비, 생활비와 같은 수시로 돈이 필요할 때 해당 이벤트가 발생할때 쓰는 돈을 예치하면 비교적 높은 금리도 받고 좋아요!

 

파킹통장의 단점

정기예금보다는 금리가 낮다는 것
입출금통장처럼 계좌개설 시 20일 제한에 걸릴 수도 있다는 것
돈이 묶이지 않으니 수시로 입출금할 수 있어서 목돈 모으기는 힘들고, 지출통제도 어렵다는 점

 


계좌개설 20일 제한이란?

다계좌 개설 방지 및 금융사기를 막기 위해서 한번 입출금통장을 개설한 이후에 영업일 20일 이내에 계좌개설을 방지하는 제도입니다.
파킹통장은 20일 제한이 적용되는 입출금통장을 개설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시입출금통장인데 금리가 높네? 하고 바로 가입하기보다는 신중하게 고민하고 가입하시는 것을 추천합니다.
특히, 수시입출금 기능을 활용하지 않을 것이라면, 특판 고금리 예금이나 비과세 적용 상품에 가입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 즉, 고금리 예적금을 통한 재테크를 하기 위해선 무작정 파킹통장을 개설하는 것을 주의해야 합니다.


유사 수신 상품과의 차이점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통장, 보통예금의 경우는 모두 이름만 다를뿐 같은 일반통장 예금상품이며 입출금이 언제든지 자유롭게 가능한 상품입니다. 

 

파킹통장은 일반적으로 보통예금이면서 높은 금리를 주는 통장이라는 점 기억하시죠?  따라서 단순 입출금통장보다 고금리혜택도 함께 주는 수시입출금통장인 파킹통장 하나 정도는 갖고 있다면 재테크 좀 아시는 분입니다!

 

작년까지만 해도 이와 같은 파킹통장의 경우 제로금리에 가까웠으나, 현재는 고금리 시대인 만큼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적용받으면서 자금을 보관할 수 있는데요, 특히 파킹통장의 경우 조금 더 높은 금리를 적용하니, 여러 파킹통장을 잘 살펴보고 최적의 파킹통장을 선택하시길 바랍니다.

 

 

파킹통장 가입 시 고려 사항

 

우대금리 조건의 여부

대부분의 고금리 예적금의 경우 까다롭게 카드개설을 해야하는 등 우대조건이 설정되어 있는데 파킹통장의 경우는 대부분 별다른 우대조건이 없습니다. 그래도 경우에 따라서 드물게 첫거래 고객 혜택이라거나 한도제한, 카드실적이나 자동이체 등의 조건들이 있으니 잘 따져보고 결정하세요.

 

 

이자 적용 범위: 한도 예치 금액

물론, 파킹통장에서 고금리 이자를 받을 수 있는 부분은 은행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수시입출금 통장으로 사용되는 파킹통장의 한도 금액은 높지 않을 수 있으며, 납입 금액에 따라 차등 금리가 적용되는 상품도 있으므로, 금리 조건을 꼼꼼하게 확인해야 합니다.

한 예를 들어, 현재(2023년 1월 12일 기준) 가장 높은 파킹통장 금리인 OK저축은행 파킹통장은 100만 원까지만 5%의 이율을 제공하고, 1백만 원에서 5백만 원까지는 4%의 금리가 적용됩니다. 따라서 5백만원 이상의 큰 금액을 6개월 이상 장기 예치할 계획이 있다면, 파킹통장보다는 고금리 정기예금 상품을 검토하여 더 높은 금리를 받을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파킹통장 가입 방법에 대해서도 고려해야 합니다. 현재 시대에서는 대면 상품보다 비대면 상품의 금리가 더 높을 수 있으며, 파킹통장은 대체로 24시간 동안 비대면으로 가입할 수 있기 때문에 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편리하게 가입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다올저축은행의 FI저축예금은 최고 연 3.8%의 이율을 제공하는데, 이는 다른 조건 없이 이자가 쌓이고 입출금이 자유로운 파킹통장과 동일한 특징을 갖습니다. 대면 가입시에는 3.30%의 이율을 받지만, 비대면으로 가입할 경우(다올디지털뱅크 Fi)에는 3.80%의 이율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 공매도 금지  (0) 2023.11.09
무직자 대출! 나도 받을 수 있을까?  (1) 2023.11.03
정부 2023 연금 개혁안 발표  (1) 2023.10.31
LTV? DTI? DSR? 대출 규제 종류  (2) 2023.10.11
디플레이션 인플레이션 요약 정리  (0) 2023.09.23